카테고리 없음

성공한 사람들이 입을 모아 말하는 단 하나의 습관: 그냥 해라

그로잉맨 2025. 3. 14. 06:43
반응형

 

성공 비결에 관한 조언은 수없이 많습니다. 어떤 사람은 원대한 목표를 세우라 하고, 또 어떤 사람은 눈앞의 일에만 집중하라고 합니다. 어떤 사람은 아침 일찍 일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하고, 또 다른 사람은 시간은 상관없다고 말하죠. 그러나 놀랍게도 성공한 사람들이 99% 동의하는 단 하나의 습관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그냥 해라"입니다. 왜 행동이 모든 성공의 시작점일까요? 아이디어만으로는 왜 충분하지 않을까요?

1. 머리로는 판단할 수 없다: 해봐야 알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아이디어가 좋은지, 될지 안 될지를 책상 앞에서 고민합니다. 하지만 아이디어의 좋고 나쁨은 머리로 판단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해봐야만 알 수 있습니다.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조스도 1994년 인터넷 서점을 시작할 때 성공을 장담할 수 없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시도를 '크레이지 씽'이라고 표현했고, 그의 상사도 "직장을 포기하고 할 만한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베조스는 후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중에 실패하더라도 그건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시도조차 안 하면 분명 후회로 남을 거라는 걸 알았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기업가들도 자신의 아이디어가 성공할지 미리 알 수 없었습니다. 그들은 그저 해보고 결과를 지켜본 것입니다. 게리 바이너척(Gary Vaynerchuk)은 "아이디어는 쓸모없고, 실행이 모든 것"이라고 단언했습니다. 어떤 아이디어든 실제 가치는 그것이 실행될 때만 생겨납니다.

2. 실력은 연습에서 온다: 1만 시간의 법칙

자전거 타는 법을 책으로만 읽는다고 탈 수 있을까요? 불가능합니다. 보조 바퀴 달고 타보고, 넘어져도 보고, 실패를 겪어가며 배우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버진 그룹의 창업자 리처드 브랜슨은 "걸음마는 규칙을 읽는다고 배워지지 않는다. 넘어지면서 배운다"고 말했습니다. 어떤 일을 하든 처음에는 어설프고 실수투성이이겠지만, 그 경험을 통해 실력이 늘고 노하우가 쌓입니다.

 

'1만 시간의 재발견'의 저자 안데르스 에릭슨 교수에 따르면, 어떤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약 1만 시간의 연습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1만 시간의 첫 시간은 누구나 서툴고 부족합니다. 하지만 작은 시도라도 해봐야 실력이 는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3. 자신을 알아가는 여정: 해보면서 발견하는 적성과 흥미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무엇을 좋아하고 잘하는지 정확히 모릅니다. 중고등학생들의 장래 희망 1순위가 교사인 이유는 그것이 완벽한 직업이어서가 아니라, 그들이 가장 자주 접하는 직업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자신이 경험해 본 것 중에서만 좋아하는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스티브 잡스는 "네가 사랑하는 일을 찾지 못했다면, 계속 찾아라. 안주하지 마라"고 조언했습니다. 우리가 다양한 일을 시도해 보면, 흥미와 적성에 맞지 않는 일은 자연히 떨어져 나가고, 의외의 재능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해보는 것 없이 책상에서 고민만 한다면, 평생 자신이 무엇을 잘하고 좋아하는지 알지 못할 것입니다.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은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4. 행동을 막는 두 가지 장애물: 두려움과 완벽주의

그렇다면 왜 많은 사람들이 알면서도 행동하지 못할까요? 첫 번째 이유는 두려움입니다. 실패와 비난에 대한 두려움이 우리를 마비시킵니다. 하지만 데이비드 고긴스는 "두려움은 일시적이지만 후회는 영원하다"고 말했습니다.

 

두려움을 극복하는 핵심은 두려워할 대상을 바꾸는 것입니다. 실패를 두려워하는 대신, 시도하지 않고 제자리걸음만 하는 미래를 더 두려워해야 합니다. 순간적인 비난은 금방 사라지지만, 시도하지 않은 후회는 평생 남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장애물은 완벽주의입니다.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해", "더 철저한 계획이 필요해"라고 계속 미루다 보면 영원히 시작하지 못합니다. 세상에는 어떤 상황에서도 100% 적합한 완벽한 정보나 계획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정보는 언제나 부족하면서도 넘치는 특성이 있습니다. 필요한 정보의 약 70%만 모아도 시작하기에 충분합니다. 나머지는 진행하면서 채워나가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출발하지 않는 여행만이 불가능하다

토니 로빈스는 "불가능한 유일한 여행은 네가 출발하지 않는 여행"이라고 말했습니다. 물론 모든 시도가 성공으로 이어지진 않습니다. 하지만 무엇이 될지 안 될지는 해봐야만 알 수 있고, 해봐야만 실력이 늘며, 해봐야만 그것이 나에게 맞는지 알 수 있습니다.

 

두려움을 극복하려면 두려움의 대상을 바꿔야 합니다. 실패를 두려워하기보다 시도하지 않아 제자리에 머무는 미래를 더 두려워해야 합니다. 그리고 완벽한 준비를 기다리지 말고, 기본적인 정보만 갖추고 일단 시작해야 합니다.

 

성공한 사람들의 조언이 여러 방면에서 다르더라도, "그냥 해라"라는 메시지는 거의 모든 성공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핵심 원칙입니다. 계획과 준비도 중요하지만, 그것도 머리로만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해야 합니다.

그냥 하는 것만큼 확실한 성공 비결은 없습니다.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전문용어]

  • [인플루언서]: 소셜 미디어에서 많은 팔로워를 보유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
  • [1만 시간의 법칙]: 어떤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해 약 1만 시간의 의도적인 연습이 필요하다는 이론

 

반응형